제5회 세계인문학 포럼 상세 일정표
■ 첫째날: 10월 31일, 수요일 | ||
Time | Title | Venue |
08:30-08:50 | 등록 | 전체회의장 로비 |
08:50-09:10 | ◈ 기조강연 | 전체회의장 |
지구촌시대의 인간상 - 이한구 (경희대학교) | ||
09:10-10:40 | ◈ 전체회의1 : 타자, 우리, 열린인간 | 전체회의장 |
Moderator/Commentator : Peter Bauman (Swarthmore College) | ||
1.Eda DEDEBAS DUNDAR (University of Nevada, Reno/Bogazici University) | ||
21세기 멀리 떨어져 있는 타인 (Distant Other) 목격하기 | ||
2.Chetana NAGAVAJARA (Silpakorn University, Thailand) | ||
‘더 나은 존재’로서의 ‘타자’: 태국의 사례 연구 | ||
3.Albert BRAZ (University of Alberta) | ||
다원적 국가/다원적 시민: 21세기 국가의 얼굴 | ||
4.Yong HUANG (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) | ||
일인칭 권위: 또는 타자를 그들 스스로보다 잘 알기? | ||
5.Wha-Chul SON (Handong University) | ||
‘우리’가 신 놀이를 하는가?: 기술 사회에서 ‘우리’의 문제 | ||
10:40-10:50 | 휴식 | - |
10:50-12:40 | ◈ 분과회의 1 | |
문화정체성 | K1 | |
Moderator/Commentator : Moustafa Bayoumi (Brooklyn College) | ||
1.Yih-Fen HUA (National Taiwan University) | ||
현대 역사학의 기묘함에 대한 이미지 : 19세기 정서적 유산과 21세기의 반응 | ||
2.Fakrul ALAM (East West University) | ||
국경을 넘어 인간 이미지 재발견 하기: 아미타브 고시의 여행/고행 요약 | ||
3.Kimberly MC KEE (Grand Valley State University) | ||
한국 상상하기: 입양아들이 말하는 조국 | ||
4.Su Kyung KANG (Pusan National University / International Center of Korean Research at Moscow State University) | ||
다문화 사회와 국제 이민자 문화적응 연구: 러시아어 화자를 중심으로 | ||
5.YoungHee WON (Handong Global University) | ||
학계 간 역량 강화를 통한 인문학의 지속 가능성: 번역/통역 연구에 초점을 맞춘 연구 | ||
문학에 나타난 인간상 I | K2 | |
Moderator/Commentator : Peter Marks (University of Sydney) | ||
1.Frances DICKEY (University of Missouri) | ||
외모, 그 이상의 것: 모더니즘 초상화기법 | ||
2.Holly MASTURZO (Florida State College at Jacksonville) | ||
문화 변화의 촉매제 및 중심지로서의 움직이는 몸의 이미지: 공연의 변형 잠재력 집중 연구하기 | ||
3.Igor SHAYTANOV (Russian State University for the Humanities) | ||
문화 연구 시대의 비교시학/역사 시학 | ||
4.Nguyen Thi HIEN (Vietnam National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es) | ||
인간은 한낱 벌레에 불과한가? 욕망과 증오의 서사 - 1970년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 문학 | ||
5.Yong Ho CHOI (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)) | ||
기술복제 시대 포스트-휴머니티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| ||
영성적 인간상 | K3 | |
Moderator/Commentator : Edward A. Irons (The Hong Kong Institute for Culture, Commerce, and Religion) | ||
1.Ábrahám KOVÁCS (Debrecen Reformed University) | ||
영혼 없는 로봇과 영혼을 가진 로봇? 헝가리의 공산주의로부터 세속주의에 이르기까지 인간 이미지의 발전 | ||
2.S. Brent PLATE (Hamilton College) | ||
우리의 모습으로 창조된: 점토인형부터 바비를 거쳐 AI까지 인형의 영적 역사 | ||
3.Ariane PERRIN (Centre for Korean Studies of UMR 8173 & Catholic University of Paris) | ||
"내세로의 여행 : 삶과 죽음에서 고구려 무덤 벽화(AD 4~7세기)에서의 죽은 자의 이미지 | ||
4.Chul CHUN (Hanshin University) | ||
인공지능 시대의 종교적 상상력 | ||
5.So-Yi CHUNG (Sogang University) | ||
그리스도교와 유교의 대화에 나타난 영성과 인간 본성 | ||
여성주의 인간상 | K4 | |
Moderator/Commentator : Phillip Barrish (University of Texas at Austin) | ||
1.Diana BRYDON (University of Manitoba) | ||
인간 재구성하기: 현대 페미니스트 사변 소설 | ||
2.Krystyna STEBNICKA (University of Warsaw) | ||
여성 이미지의 중첩 : 고대 그리스 도시들의 변화하는 세계에서의 여성의 미덕 | ||
3.Jung-Soon SHIM (Soongsil University) | ||
한국화된 페미니스트 속 “신여성” 재구성하기: 나혜석의 ‘파리의 여인 | ||
4.Tahmina MARIYAM (International Islamic University Chittagong) | ||
나는 변화한다 고로 존재한다: 타미마 아남 작품 속의 여성 정체성 확립 | ||
5.Zoly RAKOTONIERA (University of Antananarivo) | ||
“우리의 여성들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을 막는다: 현대 아프리카 소설 속 여성 인물” | ||
세계화 시대 인간상 | K5 | |
Moderator/Commentator : Sherry-ann Singh ( The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) | ||
1.Antonetta L. BRUNO (Department of Oriental Studies, University of Rome La Sapienza) | ||
한국에서 시각적인 상품들의 정체성 변화 | ||
2.José Antonio HERNÁNDEZ MACÍAS (Universidad Nacional Autónoma de México) | ||
부엔 비비르(Buen Vivir), 라틴 아메리카 도시 개발을 위한 대안 | ||
3.Noel B. SALAZAR (University of Leuven / IUAES) | ||
우리의 이동('Moveo ergo sum)': 인류와 그 (자기) 이미지에 필수적인 이동성 | ||
4.Samuel Gerald COLLINS (Towson University) | ||
잠재되어 있는 인간 : 존재와 부재의 틈에 깃든 삶의 추적 | ||
5.Jongchol PARK (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) | ||
김정은 시대의 북한 석유와 C1 산업 연구 | ||
12:40-13:30 | 점심 | 야외정원 |
13:30-14:40 | ◈ 개회식과 메인 기조연설 | 전체회의장 |
자유와 인종과 자유의 여신상 - 타일러 스토발 (미국 역사학회 회장) | ||
14:40-14:50 | 휴식 | - |
14:50-16:20 | ◈ 분과회의 2 | |
젠더와 정체성 | K1 | |
Moderator/Commentator : Tahmina Mariyam (International Islamic University Chittagong) | ||
1.Fumiko UMEZAWA (Keisen University) | ||
근대 초기 일본의 신종교에 나타난 여성들의 대체 이미지 | ||
2.Eurie DAHN (The College of Saint Rose) | ||
미국 유색인의 잡지와 미국의 흑인 미디어 네트위크 | ||
3.Kwok-kan TAM (Stockholm University/Hang Seng Management College, Hong Kong) | ||
탈사회주의 중국인 노라: 무대에서 보여지는 변화하는 여성에 대한 성과 육체의 표현 | ||
4.Phillip J. BARRISH (University of Texas at Austin) | ||
싱클레어 루이스의 <애로스미스>(1925) 속의 남성, 의학 및 인간 공감 | ||
5.Hadeer ABOELNAGAH (Prince Sultan University, Riyadh) | ||
뉴미디어에서의 이슬람 여성 표현 | ||
문학에 나타난 인간상 II | K2 | |
Moderator/Commentator : Frances Dickey(University of Missouri) | ||
1.Akiko MANABE (Shiga University) | ||
이미지의 변형~라프카디오 헌(고이즈미 야쿠모)의 ‘설녀’와 일본 현대 연극 및 영화 | ||
2.Peter MARKS (University of Sydney) | ||
‘슈퍼 새드 트루 러브 스토리’와 ‘더 서클’에서의 인간 개조와 감시. | ||
3.Steven L. RIEP (Brigham Young University) | ||
변화하는 현대 중국어 문학과 영화 속 장애인에 대한 시각 | ||
4.James SHERRY (Segue Foundation Inc., Roof Books) | ||
단일 모형 반대 | ||
5.Youngmin KIM (Dongguk University) | ||
“인간의 이미지의 문학적 재현에 있어서의 윤리” | ||
동양사상과 인간상 | K3 | |
Moderator/Commentator : Jin Y. Park (American University) | ||
1.Byeongsam SUN (Sungkyunkwan University) | ||
18세기 이간의 심학에의 경도: 왕양명의 심학 철학과의 비교 | ||
2.Chung-yi CHENG (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) | ||
왕양명의 지행합일 사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 | ||
3.Achim BAYER (Kanazawa Seiryo University) | ||
꿈속의 환영으로서 인간 존재에 대한 불교의 인식 | ||
4.Zhigang ZHANG (Peking University) | ||
문화 환원: 인류 문명 교류의 새로운 영역, 불교의 중국화 사례 연구 | ||
새로운 안목과 인간상 II | K4 | |
Moderator/Commentator : Yong Huang (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) | ||
1.George KARAMANOLIS (University of Vienna) | ||
로마인의 윤리 개념 : 디그니타스 | ||
2.Moustafa BAYOUMI (Brooklyn College, City University of New York ) | ||
당신도 제가 보는 것을 보고 있습니까? 인터넷 시대에서의 전쟁과 인간. | ||
3.Shin KIM (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) | ||
인간, 사람, 그리고 그들의 미래 페르소나 | ||
4.Sun-Ah KANG (University of Seoul) | ||
유토피아, 가능세계, 그리고 은유 | ||
5.Hongjin LIU (Tsinghua University) | ||
찰스 다윈에서 캐서린 블랙포드에 이르는 사진 관상학(1870s-1910s): 감정 또는 인간의 특징 읽기? | ||
현대 기술시대의 인간상 | K5 | |
Moderator/Commentator : .Harold P. SJURSEN (New York University (NYU); ANHN; CIPSH) | ||
1.Friedrich WALLNER (Institute for Philosophy / University of Vienna) | ||
조망가능성 상실에 따른 인간 이미지의 변화 | ||
2.Hans-Georg MOELLER (University of Macau) | ||
진실성, 확실성 그리고 인간성: 인간 동일성의 이미지 | ||
3.Peter HA (Kyung-Hee University) | ||
하이데거 철학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주체 | ||
4.Riccardo POZZO (University of Verona/Institut International de Philosophie) | ||
포용과 성찰을 위한 혁신 | ||
5.Yeonsook PARK (Kyungpook National University) | ||
경계를 넘어 : 인공지능은 미적일 수 있는가? | ||
부산시 세션 | 전체회의장 | |
Moderator/Commentator : Jihoon Lee (Philo Artlab) | ||
1.Jungsun KIM (Dona-A university) | ||
부산 미술의 지역성 모색- '바다와 여성' 이미지를 중심으로- | ||
2.Youn-yeong LEE (Indigo Seowon) | ||
휴머니즘과 청년의 책임 | ||
3.Hyungchan KIM (Kim Hyung-chan Popular music laboratory) | ||
부산의 대중가요와 인문정신 | ||
16:20-17:50 | ◈ 분과회의 3 | |
새로운 환경과 인간상 | K1 | |
Moderator/Commentator : Riccardo Pozzo (University of Verona) | ||
1.Dorine VAN NORREN (University of Tilburg) | ||
세계시민권과 인권에 대한 이문화적 관점 | ||
2.Raymond ANTHONY (University of Alaska Anchorage) | ||
환경보호와 인류세의 새벽: 알래스카 원주민 생태철학과의 대화 속에 나타난 인간-자연 관계의 자연주의적 구상 | ||
3.Gyuseog HAN (Chonnam nat. University & Korea Aerospace University) | ||
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한 인간성 되찾기 | ||
4.Ae-Ryung KIM (Ewha Womans University) | ||
바이오-테크노-미디어: 신재생산기술 (New reproductive technologies)과 모성 | ||
5. Robert T. Tally JR. I Texas State University | ||
호모칼토그래피쿠스(Homo Cartographicus, 지도를 제작하는 인간) | ||
NHA세션 (기억과 기록 속의 인간상의 시각화) | K2 | |
Moderator/Commentator : Noel Salazar (University of Leuven) | ||
1.Andrew PAYNE (National Archives) | ||
다른 사람들을 상상하거나 자신을 설계 하십시오 : 영국 식민지 사진이 실제로 무엇을 드러내는가? | ||
2.Andy MINK (National Humanities Center) | ||
인문학의 순간(근거) : 기억, 풍경, 기록보관소 그리고 교실에서의 인간이미지 보이기 | ||
3.Ben WALSH (History Association) | ||
기억과 기념물 | ||
4.Sarah MOLINA (Art Institute of Chicago) | ||
박물관에서의 인간 이미지 | ||
카자흐스탄 세션 | K3 | |
Moderator/Commentator : Igor Shaytanov (Russian State University for the Humanities) | ||
1.Aliya Kuryshzhan (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, Kazakh National University) | ||
세계화된 세상에서 다민족 경험 공유하기 | ||
2.Aripova Aziza KHASANOVNA (University of World Economy and Diplomacy) | ||
인성 개발에서의 사회문화적 현실 | ||
3.Gulgaisha SAGIDOLDA (L.N. Gumilyev Eurasian National University) | ||
투르크-몽골어 세계상의 격언연구적 단편: “사회: 언어: 인간” 삼요소의 언어 -개념적 사례들 (카자흐어와 몽골어 자료의 언어-문화적 분석) | ||
4.Nelly KHAN (Kazakh Ablaikhan University of International Relations & World Languages) | ||
한국과 러시아에서 예의와 관련한 소통 범주의 주요 개념들 | ||
5.Valeriy KHAN (Institute of History, Academy of Science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) | ||
민족의 글로벌화 : 국가에서 메타국가로 | ||
인간 이미지의 다양성 | K4 | |
Moderator/Commentator : Krystyna Stebnicka (University of Warsaw) | ||
1.Christina HAN (Wilfrid Laurier University) | ||
이국적인 자신과 이국적인 타자 : 19세기 수출화와 20세기 초 사진엽서에 나타난 동아시아인들의 이미지 | ||
2.David William KIM (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) | ||
전쟁 피난민, 고아, 여성들의 이미지: 전후 한국(1954~1960년대)과 호주의 사회 재활 캠페인 | ||
3.Jiwon KIM (Daejin University) | ||
1930년대 미국에서의 한인 가족 적응사 | ||
4.Subhadra Mitra CHANNA (University of Delhi) | ||
토착적인 관점에서 본 인간의 이미지 : 히말라야 국경지역으로부터의 이야기 | ||
5.Se Geun JEONG (Chungbuk National Univ.) | ||
한국의 미학과 고유섭 | ||
시간의 흐름과 인간상의 변화 | K5 | |
Moderator/Commentator : Songho Ha (University of Alaska Angchorage) | ||
1.Zoltán SOMHEGYI (University of Sharjah) | ||
전시의 역사를 통해 본 인간 이미지 | ||
2.Luiz OOSTERBEEK (Polytechnic Institute of Tomar.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Philosophy and Human Sciences) | ||
기억(Mnemosyne)의 탄생. 식량생산의 여명기에 나타난 인간 이미지의 출현 | ||
3.Laurent TISSOT (CIPSH, , University of Neuchâtel) | ||
관광이 어떻게 인간상을 변화시켜왔는가? | ||
4.Jae Hyung CHO (KC University) | ||
나그 함마디 문서에 나타난 인간의 모습 | ||
5.Sherry-ann SINGH (The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, St. Augustine, Trinidad and Tobago) | ||
천민에서 총리까지 : 카리브해의 인도 공동체의 이미지와 생각의 변화 | ||
18:00-19:30 | 부산시장 주최 환영리세션 | 중정 |
19:30-21:30 | 문화행사 - 조선왕 맥베스 | 부산시민회관 |
■ 둘째 날: 11월 1일, 목요일 | ||
Time | Title | Venue |
08:30-08:50 | 등록 | 전체회의장 로비 |
08:50-09:10 | ◈ 기조 강연 | 전체회의장 |
현대 사회에서 인문학의 과제와 도전 - 중국의 관점에서 - 왕후이 (칭화대학교) | ||
09:10-10:40 | ◈ 전체 회의2 : 새로운 인문학과 인간상 | 전체회의장 |
Moderator/Commentator : Steven Riep (Brigham Young University) | ||
1.Jüri TALVET (University of Tartu) | ||
세계문학이 인문학을 (되)살릴 수 있을까? 조건과 잠재력 | ||
2.Wolfgang G. MÜLLER (University of Jena) | ||
인간 생명의 가치는 무엇인가? 철학과 문학에서 나타나는 누구를 구해야 하는가의 딜레마 | ||
3.Jongmyung KIM (The Academy of Korean Studies) | ||
현대 사회의 인간상과 공존의 삶 | ||
4.Tunde ADELEKE (Department of History/African & African American Studies Program, Iowa State University) | ||
노예제도로부터 ‘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’ 운동에 이르기까지 미국인의 상상 속에 존재하는 흑인 남성 | ||
5.Niels NIESSEN (University of Amsterdam) | ||
아이폰 사진: 애플의 월드 픽처(World Picture) | ||
10:40-10:50 | 휴식 | - |
10:50-12:40 | ◈ 분과회의 4 | |
생태학과 인간상 | K1 | |
Moderator/Commentator : Fakrul Alam (East West University) | ||
1.Alexandra POULAIN (University of the New Sorbonne) | ||
자넬리 무홀리의 “얼굴과 단계들”의 불가사의한 시선 | ||
2.Anne M. THELL (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) | ||
‘다시 하늘을 날다’ 로빈슨 크루소, 여행 그리고 광기 | ||
3.Naoko TORAIWA (Meii University) | ||
“행성의 지질학적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생명이라면”: 시네이드 모리세이 시의 네트워크에서의 인간상 | ||
4.Susan PHILIP (University of Malaya) | ||
문화 지도 제작: 청년과 유산 연결하기 | ||
5.Songho HA (University of Alaska Anchorage) | ||
잭슨주의 시대 미국 원주민의 상반되는 이미지 | ||
문학에 나타난 인간상 lll | K2 | |
Moderator/Commentator : Peter Marks (University of Sydney) | ||
1.Desmond EGAN (Poet; Artistic Director The Gerard Manley Hopkins International Literary Festival) | ||
문학이 문명을 보호하는 방법 | ||
2.Huxiong JIN (College of Korean Studies, Yanbian University) | ||
조선족 소설에서 나타난 중국 이미지에 대한 조사 | ||
3.Mijung KANG (Seoul National University) | ||
정동이론과 프래그머티즘 | ||
4.John GERY (University of New Orleans) | ||
익숙한 식물종에서 // 이토록 향긋한 향유를 짜내는”: 미국 시에서 진화하는 이미지의 역할 | ||
5.Silvia MEJIA (The College of Saint Rose) | ||
인간은 어떻게 보이는가? <셰이프 오브 워터>의 궁극적타자 (Ultimate Other)로서의 괴물 | ||
비교사상과 인간상 | K3 | |
Moderator/Commentator : Seungchul Kim (Nanzan University) | ||
1.Hsien-hao Sebastian LIAO (National Taiwan University) | ||
인간의 동쪽으로의 이동 개념: 신 유물론자 (New Materialist)와 도교신자의 융합 | ||
2.Hee Sun BYUN ( Boston College) | ||
한국 가톨릭 기원의 토대적 실재로서 버나드 로너간의 지적 회심 개념 | ||
3.Jin Y. PARK (American University) | ||
데리다, 불교, 그리고 인간 존엄성의 미래 | ||
4.Weon-Ki YOO (Keimyung University) | ||
율곡의 인간관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| ||
이상적 인간상 | K4 | |
Moderator/Commentator : Raymond Anthony (University of Alaska Anchorage) | ||
1.Edward Y. J. CHUNG (University of Prince Edward Island) | ||
퇴계 이황의 이상적 인간상: 현대 유교의 범세계적 관점 | ||
2.Mark F. RUML (University of Winnipeg) | ||
캐나다 다코타 수(Sioux)족과 오지브와 족의 사상과 세계관에 나타나는 이상적인 인간 이미지 | ||
3.Peter BAUMANN (Swarthmore College) | ||
완벽에 반하여 | ||
4.So Jeong PARK (Sungkyunkwan University) | ||
장자의 생태적 자기: 전도된 인간 이미지 | ||
5.Sung-Eun Thomas KIM (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) | ||
혼란스러운 세상에서의 인간상: 조선 후기와 근대 초기시대의 고승의 이미지 | ||
트랜스 휴먼 | K5 | |
Moderator/Commentator : Brent Plate(Hamilton College) | ||
1.Rommel A. CURAMING (University of Brunei Darussalam) | ||
포스트휴먼으로의 전환 : 역사적 이론과 방법론의 의미 | ||
2.Seong Won PARK (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) | ||
인간은 트랜스휴먼 사회에서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? | ||
3.Edward A. IRONS (The Hong Kong Institute for Culture, Commerce and Religion) | ||
중국의 트랜스휴머니즘(Transhumanism) : 신흥 종교의 도래 | ||
4.Soo-Hwan KIM (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) | ||
순간성의 윤리학: 러시아 우주론의 전체적 생명정치학 | ||
12:40-13:30 | 점심 | 야외정원 |
13:30-15:00 | ◈ 분과회의 5 | |
언어와 인간상 | K1 | |
Moderator/Commentator : John Gery (University of New Orleans) | ||
1.Andrej BEKES (University of Ljubljana) | ||
변화하는 세상에서의 인간상: 현대와 동시대 언어 연구에서 ‘글자’와 언어 이미지 변화의 개념 | ||
2.Myeong Chin CHO (Korean Institute for Future Strategies(KIFS)) | ||
인간상과 언어 사이의 관계: 인공지능 관점에서의 4차산업 속 정체성 위기 | ||
3.Jean-Louis VAXELAIRE (University of Namur) | ||
이름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? 변화하는 세계에서 짓기와 정체성 | ||
4.Magripa YESKEYEVA (L.N. Gumilyev Eurasian National University) | ||
고대 투르크 비문과 카자흐어의 키시(KISI)/아담(ADAM) (남자/사람)의 개념: 민족언어와 문화적 지속성 | ||
5.Dan WANG (Peking University) | ||
한중 인문 교류: 현황, 문제 그리고 대안 | ||
미래시대의 인간상 | K4 | |
Moderator/Commentator : Kam Shapiro (Illinois State University) | ||
1.Harold P. SJURSEN (New York University) | ||
현대 기술은 인간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상상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는가? | ||
2.Hitoshi OSHIMA (Fukuoka University) | ||
과학의 시대의 인간상 | ||
3.Alan K. L. CHAN (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) | ||
인류를 위한 기술 :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의 역할 | ||
4.Jong-Kwan LEE (Sungkyunkwan University) | ||
문화적 인간: 4차 산업혁명의 주역? | ||
5.Seung Chul KIM (Nanzan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/ Nanzan University) | ||
탈중심화하는 인간, 불교와 자연과학과 대화하는 아시아 신학의 입장에서의 고찰 | ||
새로운 안목과 인간상 l | K5 | |
Moderator/Commentator : David William Kim (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) | ||
1.Michael B. TOTH (University College London/R.B. Toth Associates) | ||
첨단 영상기술은 인간의 이미지에 새로운 통찰력을 드러낸다 | ||
2.Andreia De Paula VIEIRA (Universidade Positivo/Centro de Pesquisa da Universidade Positivo) | ||
정밀 모니터링 기술 시대의 인간과 동물의 관계 : 동물 복지 과학이 윤리와 직면하다. | ||
3.Irakli KHODELI (UNESCO, Jakarta Science Bureau for Asia and the Pacific) | ||
2030 아젠다에서 건강한 인간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스포츠의 역할 | ||
4.Shin AHN (Pai Chai University) | ||
운보 김기창(1913~2001)의 한국적 예수 이미지 - 비교 고찰 | ||
5.Young E. RHEE (Kangwon National University) | ||
포스트휴먼 시대의 르상티망과 초인 | ||
15:00-18:20 | 부산여행 - 해동 용궁사 | 용궁사 |
18:30-19:30 | 부산여행 - 저녁 | 용궁사 |
19:30-21:30 | 문화행사 - 인문학영화제 | 영화의 전당 |
■ 셋째날: 11월 2일, 금요일 | ||
Time | Title | Venue |
08:30-08:50 | 등록 | 전체회의장 로비 |
08:50-09:10 | ◈ 기조강연 | 전체회의장 |
포스트 휴먼의 조건과 비판적 포스트 인문학 - 로지 브라이도티 (유트레흐트 대학교) | ||
09:10-10:40 | ◈ 전체회의 3 : 포스트 휴먼시대의 인간상 | 전체회의장 |
Moderator/Commentator : John Crowely (UNESCO) | ||
1.Christine DAIGLE (Brock University) | ||
포스트휴먼이 되다 : 물질적 결합의 즐거움 | ||
2.Kam SHAPIRO (Illinois State University) | ||
포스트휴먼 세계를 위한 인문학 : 언어, 이미지 그리고 나무 | ||
3.Kwang-Suk LEE (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) | ||
포스트휴먼 시대 “디지털 인문학”의 비판적 재독(再讀) | ||
4.Simone BIGNALL (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/ Flinders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) | ||
제국주의적 인문학에 대한 반대 | ||
5.Yvonne FOERSTER (Leuphana University Lueneburg, University of Konstanz) | ||
새로운 기술과 포스트휴먼의 구현 | ||
10:40-10:50 | 휴식 | - |
11:00-12:00 | ◈ 폐회식 / 샌드위치 배포 | 전체회의장 |
* 전체 프로그램은 영어로 진행됩니다. 단, 개폐회식과 전체회의, 기조강연은 한-영동시통역이 지원됩니다.
* 일반참가자(사전등록 및 현장등록)에게 포럼기간 3일동안 점심으로 간단한 도시락이 제공됩니다.
* 문화행사, 부산탐방 및 저녁은 발표자 대상 프로그램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