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기조강연
-
김우창(이화여자대학교) [기조강연1] 세계화와 보편 윤리 수용, 권리, 문화 가치.pdf
-
프레드 달마이어(노트르담대학교) [기조강연2] 휴머니티의 인간화 인문학의 지구적 의의.pdf
-
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[기조강연3] 열리는 문.pdf
-
- 전체회의 1 문화상대주의와 보편주의
-
요스트 스미르스(위트레흐트예술대학교) [세션1-전체회의1-1] 인간, 문화적 권리 보편주의 그리고 또는 문화상대주의.pdf
-
타카미 쿠와야마(훗카이도 대학교) [세션1-전체회의1-2] 문화상대주의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.pdf
-
마카란드 파란자페(자와하랄네루대학) [세션1-전체회의1-3] 문화상대주의와 보편주의.pdf
-
존 클래머(유엔대학교) [세션1-전체회의1-4] 새로운 세계의 다문화주의 새로운 철학적 인간학을 향하여.pdf
-
- 전체회의 2 글로벌 시대의 다중정체성
-
팔 아흘루왈리아(남호주대학교) [세션2-전체회의2-1] 거처의 이동, 세계화 시대에 진화하는 정체성.pdf
-
아이언 앙(웨스턴시드니대학교) [세션2-전체회의2-2] 다양성 속에서 통합을 넘어 세계화 시대에서 정체성의 세계시민주의화.pdf
-
이 왕 주(부산대학교) [세션2-전체회의2-3] 서늘한 웃음소리.pdf
-
루카 스카란티노(국제 철학인문학 협의회) [세션2-전체회의2-4] 황금률 법적 틀로서의 도덕적 보편성.pdf
-
- 분과회의 3-1 문명 갈등의 양상과 전망
-
우니 위칸(오슬로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1-1] 완전히 다르지만, 정확히 일치하는.pdf
-
노 영 찬(조지메이슨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1-2] 세계화 시대의 상대주의,보편주의,그리고 다원주의.pdf
-
수완나 사다-아난드(출라롱콘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1-4] 불교의 인간의 기원과 갈등 전환의 서사.pdf
-
- Call for Papers Session 1
-
아시스 삭세나(알라하바드중앙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2-1] 세계화 시대의 정체성 이동 인도 내에서 주변부를 위한 새로운 관심.pdf
-
박 제 철(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2-2] 동아시아 예술영화에서 지구적 이국성.pdf
-
김 원 희(한국외국어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2-3] 문명 갈등과 인문학적 치유 공간 발칸반도의 마케도니아, 스코피예.pdf
-
임 춘 성(목포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2-4] 중국 소수민족 영화의 문화 횡단과 문화적 정체성.pdf
-
- Call for Papers Session 2
-
강 정 인(서강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3-1] 비교정치사상 방법론에 대한 예비적 고찰 횡단적 교차문화적 대화.pdf
-
이 종 관(성균관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3-2] 월스트리트의 절망과 하이라인 공원의 희망.pdf
-
툰데 아델레케(아이오와주립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3-4] 글로레이셜라이제이션 문화 시민권의 장애물.pdf
-
수파크와디 아마타야쿨(출라롱콘대학교) [세션3-분과회의3-5] 감성의 극복, 운명의 정복 데카르트 윤리학에 대한 성찰.pdf
-
- 분과회의 4-2-A 지구윤리와 문화소통의 가능성
-
타넬라 보니(아비장대학교) [세션4-분과회의1-1] 인간으로 이 세계에서 살아가기.pdf
-
곽 차 섭(부산대학교) [세션4-분과회의1-2] 지구윤리, 문명충돌, 한 역사가의 비전.pdf
-
폴랭 웅통지(국립베냉대) [세션4-분과회의1-3] 지구윤리, 포용과 배제.pdf
-
폴 윌리스(프린스턴대학교) [세션4-분과회의1-4] 삶의 구체적인 문화의 관점에 비춰 본 보편주의와 포용.pdf
-
- 분과회의 4-2-B 인간의 경계
-
라이니어 이바나(아테네오데마닐라 대학교) [세션4-분과회의2-1] 지구적 기후변화 시대의 인간.pdf
-
호세 코르데이로(싱귤래리티 대학교) [세션4-분과회의2-2] 인간의 경계 휴머니즘에서부터 트랜스휴머니즘까지.pdf
-
임 홍 빈(고려대학교) [세션4-분과회의2-3] 트랜스모더니티의 변증법.pdf
-
로미 무커지(유네스코) [세션4-분과회의2-4] 존재의 문턱에서 인간과 그 타자의 변증법.pdf
-
- 분과회의 4-2-C 미와 선: 시학, 미학, 그리고 윤리학
-
마이클 에이겐(뉴욕대학교) [세션4-분과회의3-1] 아름다움과 파괴 선함은 삶을 존속시킬 수 있는가, 그리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.pdf
-
장 고드프리 비디마(툴레인대학교) [세션4-분과회의3-2] 미학은 정치이고 미는 비평이다.pdf
-
브리짓 빈센트(캠브리지대학교) [세션4-분과회의3-3] 영감을 불어넣는 윤리학 도덕 논쟁에서 시의 역할은.pdf
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