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기조강연
-
김여수 (경희대학교) [Keynote1] 인문학과 문명의 치유.pdf
-
콘라드 야라우쉬 (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) [Keynote2] 과거사 직면과 카타르시스 독일의 이중 독재의 부담이 주는 교훈.pdf
-
미셸 마페졸리 (파리5대학교) [Keynote3] 통합적 휴머니즘을 통한 갱생.pdf
-
- 전체회의 1. 고통과 갈등
-
다니엘 파이어스타인(트레스데페브레로대학교) [Session1-1] 기억, 재현, 집단학살 문제의 해결.pdf
-
나라얀 와글레(작가/언론인) [Session1-2] 네팔의 민주주의 정신 탐색.pdf
-
서 경 식(도쿄경제대학교) [Session1-3] 임상적 치유냐, 병리학적인 성찰이냐 아우슈비츠와 후쿠시마를 잇는 상상력.pdf
-
와이 치 디목(예일대학교) [Session1-4] 길가메시 현대전쟁과 메소포타미아 서사시.pdf
-
- 전체회의 2. 자연, 문명, 과학기술
-
장 회 익(서울대학교) [Session2-1] 인간과 자연 사이의 새로운 형태의 조화.pdf
-
앤드류 고든(플로리다대학교) [Session2-2] 외계인 되기 아바타와 디스트릭트9.pdf
-
피터 L. 루드니츠키(플로리다대학교) [Session2-3] 디지털 기술 시대의 예술작품 인류는 어떤 모습의 미래를 만들 것인가.pdf
-
데즈몬드 이건(아일랜드 시인) [Session2-4] 질병과 예술.pdf
-
- 분과회의 3-1 치유 인문학의 관점, 접근법, 사례
-
요한 하팅(스텔렌보쉬대학교) [Session3-1-1] 환경 윤리학의 관점에서 본 인문학과 치유.pdf
-
야스나리 타카다(도쿄대학교) [Session3-1-2] 위안의 유형학에 관한 시론 치유와 문화적 차이.pdf
-
김 혜 숙(이화여자대학교) [Session3-1-3] 여성주의와 치유의 인문학 탈북여성의 문제를 중심으로.pdf
-
루카 마리아 스카란티노(IULM대학교) [Session3-1-4] 인문학 그리고 정치학의 위기 칼리폴리스에서 블레이드 러너의 L.A까지.pdf
-
- 분과회의 3-2. 누구의 고통에 귀 기울일 것인가?
-
툰데 아델레케(아이오와주립대학교) [Session3-2-1] 인문학의 치료적 기능 흑인 연구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험.pdf
-
앙리 테리오(워스터주립대학교) [Session3-2-4] 어려운 대화 가해자, 희생자, 권력, 그리고 대규모 폭력의 유산.pdf
-
- 분과회의 3-3. 치유의 인문학 실천 사례
-
피터 B. 래비(프레이저밸리대학교) [Session3-3-1] 치유의 말 정신병 치료에서 철학의 역할.pdf
-
슐로밋 슈스터(소폰센터) [Session3-3-2] 철학 상담 사례와 비잔틴 철학.pdf
-
가야마 리카(릿교대학교) [Session3-3-3] 인문학의 치유실천.pdf
-
진 퓨리(린디퓨리재단) [Session3-3-4] 인문학의 치유적 실천 탐색.pdf
-
- 분과회의 4-1. 인문학, 서사, 기억, 그리고 치유
-
존 클래머(UN대학교) [Session4-1-1] 인문학과 의료 질병과 고통의 서사.pdf
-
윤 정 화(이화여자대학교) [Session4-1-2] 재일한인작가 이양지 소설에 나타난 모국 이해와 치유의 서사적 재현.pdf
-
엘리자베스 S. 건(모건주립대학교) [Session4-1-3] 누구도 인문학 때문에 죽지 않았다 현대 세계에서 치유와 초월.pdf
-
- 분과회의 4-2. 언어, 젠더, 감성
-
앤서니 애들러(연세대학교) [Session4-2-1] 치유의 사상 철학 치료와 형이상학 비판.pdf
-
허 라 금(이화여자대학교) [Session4-2-2] 치유의 인문학으로서의 여성주의 실천.pdf
-
박 우 룡(서강대학교) [Session4-2-3] 감성과 인문 치유 그리스의 철인들과 스토아학파의 감성인식.pdf
-
주 현 식(서강대학교) [Session4-2-4] 탈춤의 치유적 기능.pdf
-
- 분과회의 5-1(UNESCO) 변화의 서사(Narratives of Change)
-
그레고리 케네(베르사유-생캉탱대학교) [Session5-1-1] 치유의 내러티브 환경사의 시각.pdf
-
란잔 차크라바티(비디야사가르대학교) [Session5-1-2] 순다르반스 지역에서 호랑이와 인간의 갈등.pdf
-
- 분과회의 5-2 (교육과학기술부/한국연구재단) 한국의 인문치유
-
송 기 동(교육과학기술부) [Session5-2-1] 한국의 인문학 정책과 사회적 기여.pdf
-
이 영 의(강원대학교) [Session5-2-2] 인문치료의 이론과 실제.pdf
-
김 종 군(건국대학교) [Session5-2-3] 한국인의 분단 트라우마와 구술 치유.pdf
-
홍 선 미(원광대학교) [Session5-2-4] 결핍과 표현 그리고 마음치유 선택적 함구증을 중심으로.pdf
-
- 분과회의 5-3 (부산광역시) 20세기 부산, 그 상흔과 치유
-
김 열 규(서강대학교) [Session5-3-1] 한국사의 첨단에 부치는 포에지.pdf
-
차 철 욱(부산대학교) [Session5-3-2] 한국전쟁 피란민의 상흔과 치유.pdf
-
박 만 준(동의대학교) [Session5-3-3] 민족사인 산수 이종률 그 상처의 흔적과 역사적 현재.pdf
-
강 동 진(경성대학교) [Session5-3-4] 산복도로 한 모퉁이에서 부산 근대를 다시 보다.pdf
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