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기조강연
-
이창래 (프린스턴대학교) [기조강연1] 아름다운 사물의 혼돈 아날로그적 존재에 대한 생각.pdf
-
피터 갤리슨 (하버드대학교) [기조강연2] 과학기술 생산시대의 인문학의 위기.pdf
-
쿠로다 레이코 (도쿄이과대학교) [기조강연3] 변화하는 세계와 사회 속의 과학 자연과학, 사회과학, 인문학의 협업.pdf
-
- 전체회의 1 과학기술의 질주와 인간 정체성
-
엘리스 루빈스타인(뉴욕 과학연구원) [세션1-1] 과학기술과 인간의 경험.pdf
-
이 태 수(인제대 인간환경미래연구원) [세션1-2] 과학기술, 포스트휴먼 그리고 인문학.pdf
-
슈테판 로렌츠 조르그너(에어푸르트 대학교) [세션1-3] 인문학에서 메타인문학으로.pdf
-
- 분과회의 2 시대 속의 인문학
-
김 영 식(서울대학교) [세션2-1] 과학기술 시대의 인문학.pdf
-
요아힘 라트카우(빌레펠트 대학교) [세션2-2] 생태학의 시대 신계몽.pdf
-
데이비드 크리스천(메커리 대학교) [세션2-3] 지구를 바꾸는 종, 인류세의 인간.pdf
-
- 분과회의 3-1 사이버 사회에서의 인간
-
최 영 진(중앙대학교) [세션3-1-1] 디지털 문화시대의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 재고.pdf
-
박 홍 재(오클랜드대학교) [세션3-1-2] 디아마이그레이션 디지털 시대 국경을 초월한 이민과 디아스포라의 융합적 출현.pdf
-
류 철 균(이화여자대학교) [세션3-1-3] 스토리텔링 진화론.pdf
-
- 분과회의 3-2 '포스트 휴먼' 몸과 마음
-
이 종 관(성균관대학교) [세션3-2-2] 포스트휴먼의 출현과 존재사에 있어서 인간의 위치.pdf
-
강 미 정(서울대학교) [세션3-2-4] 움벨트 포스트휴먼 분산인지의 생태계.pdf
- 분과회의 3-3 생물학주의와 인문주의
-
안 은 미(서울대학교) [세션3-3-1] 사전의료지시서, 의학적 궁여지책에서 가치 중심적 결정으로.pdf
-
오 윤 호(이화여자대학교) [세션3-3-2] 사이언스 픽션과 인간 진화의 상상력.pdf
-
왕 롱 린(타이완대학교) [세션3-3-3] 다윈주의가 인간존엄성을 훼손하는가.pdf
-
강 선 아(서울대학교) [세션3-3-4] 생물학주의는 유전자라는 은유에 기반하는가.pdf
-
- 분과회의 4-1 과학기술 혁명기의 인문학
-
홍 성 욱(서울대학교) [세션4-1-1] 과학기술혁명 시대의 두 문화와 과학학의 역할.pdf
-
이 두 갑(서울대학교) [세션4-1-2] 과학기술혁명과 원격성 그리고 도덕.pdf
-
강 경 표(중앙대학교) [세션4-1-3] 오주서종박물고변에 나타난 서양과학기술.pdf
-
- 분과회의 4-2 과학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비판의 재조명
-
손 화 철(한동대학교) [세션4-2-1] 21세기 호모 파베르, 인간 본성으로서의 인공성과 기술철학.pdf
-
채니카 미첼(서경대학교) [세션4-2-3] 과학은 단지 과학이 아니다, 자연사 박물관에 존재하는 정체성과 이데올로기.pdf
-
- 분과회의 4-3 인문학과 과학의 미래지향적 만남
-
전 승 환(한남대학교) [세션4-3-1] 인문공학 과학기술시대의 융복합적 인문학.pdf
-
이 수 진(서강대학교) [세션4-3-2] 미래 몸과 테크놀로지에 관한 사이언스픽션 영화의 코노테이션.pdf
-
슈바 S. 고케일(한국외국어대학교) [세션4-3-4] 지적재산법이 자율적 로봇을 보호할 수 있는가.pdf
-
- 주최/ 주관기관 세션
-
강 신 익(부산대학교) [세션5-2] 달리보기 사회생물학에서 생명인문학으로.pdf
-
최 정 우(서강대학교) [세션5-3] 융합연구의 빛과 그림자 인문학에 방향을 묻는가.pdf
-
김 조 년(한남대학교) [세션5-4] 과학기술도시 대전에서의 인문학의 역할과 과제.pdf
-
박 찬 인(충남대학교) [세션5-5] 대전시 길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길의 함의 연구.pdf
-
황 의 동(충남대학교) [세션5-6] 17세기 대전유학의 인문학적 탐구.pdf